오늘은 설계할 때 많이 쓰는 용접강관에 대해서 알아보자🧐
무계목강관(Seamless) 대비 상대적으로 가격도 저럼하고 범용으로 쓰이고 있어
또한, 용접강관은 소재에 따라서 탄소강 강관, 스테인리스강관, 아연도금 강관으로 분류할 수 있어
탄소강 강관 (Carbon Steel Pipe)
말그대로 소재로 탄소강을 사용하는 강관이야
그럼 탄소강은 뭘까?🤥🤥
규소·망가니즈·인·황을 불순물로 함유하고 있는데
철과 탄소의 합금 중에 열처리가 가능한거야
탄소의 함유량은 0.05~2.1%
일반적으로 흑색의 재질이고
이런 색깔때문에 흔히 흑관이라고도 많이 부르지
주변에서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파이프는 아마 다 흑관일거야
도장이나 도금을 해서 사용해
스테인리스 강관 (Stainless Steel Pipe)
말그대로 소재로 스테인리스를 사용하는 강관이야
스테인리스는 우리 잘 아니까 넘어가도 되겠지?😊😊
하나 짚고가야할 거는 스테인리스강은 전혀 녹슬지 않는다는게 아니야!
보통 철강에 비해 그다지 녹슬지 않는다는거지
스테인리스다 보니 가격도 비싸고 해서 녹이 나면 안되는곳이나
미관상 녹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하고 있어
아연도금 강관 (Galvanized Steel Pipe)
얘는 일반 강관에 아연도금을 한거야
우리가 잘 아는 말로는 백관이라고 부르고 있지
백관은 동결이나 외상같은거에는 강해
하지만, 산, 해수, 60℃ 이상의 온수에서는 침식이 되니까
용도에 맞게 쓰는게 중요하지!
내식성을 높이기 위해서 만들어지고 사용되고 있어
물론 위에서 나와있는 스테인리스 배관도 있지만
스테인리스보다는 저렴하다보니 현재도 많이 쓰고있는거야
만약 녹이 난다해도 탄소강과 같이 적녹(붉은색 녹)이 발생하는게 아니라
아연이 공기중에 산화되면서 발생하는 백청(하얀 녹)이 발생하고 난 뒤에 적녹이 발생해
그리고
추가적으로 하나만 더 알고가자면🤓
선도금강관(Pre-Galvanized Steel Pipe)라고 있는데
아연도금 강관과 혼용해서 많이 사용하지만
엄연히 차이점이 있다구
아연도금 강관은 아연도금로에 담가서 도금하는거고
선도금강관은 원재료를 아연도금 강판을 사용해서 제작하는거야
그렇게 제작을 하면 용접한 부분이 도금이 제대로 되지 않겠지?
그래서 파이프 겉면은 후공정으로 용사처리(아연도금 별도로 진행)해주지만
내부는 용사처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녹으로 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어
다음에는 위에 용접강관들에 대한 규격에 대해서 설명해줄게🤗
2021.07.06 - [기계설계/설계관련 공유 File] - 기계설계용 부품 DWG 공유
2021.07.06 - [기계설계/철강자재] - 철판(Steel Plate) 규격 정리표
2020.06.23 - [기계설계/철강자재] - Ex메탈(Ex-Metal)의 종류와 규격 [JIS G 3351 XG,XS]
2020.06.22 - [경제/파이코인] - 파이코인(Pi Network) 채굴 따라하기! (제2의 비트코인)